-
한국투자 대학생 모의투자대회 수상 후기잡담 2020. 11. 22. 21:16반응형
한국투자증권에서 주최한 대학생 모의투자대회가 끝난 지 한 달이 넘어서야 이제야 후기를 올린다.
대회 중간에 글을 쓰기도 했지만 끝까지 마치고 나서 한 번 더 쓴다.
일단 결과부터 말하자면 국내리그 3등으로 마무리했다. 상금 백마넌과 상장인데 상금은 아직 안 들어왔다.
최종 수익률은 98%를 찍었다.
덤으로 여의도에서 하는 시상식에 참가해 좋은 경험했던 거 같다.
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6&aid=0001752233
한국투자증권, 제2회 뱅키스 대학생모의투자대회 시상식 개최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한국투자증권은 지난 13일 여의도 본사에서 ‘제2회 뱅키스(BanKIS) 대학생 모의투자대회’ 시상식을 개최했다고 16일 밝혔다. 지난 8월 31일부터 8주에 걸쳐 진행된 이번
news.naver.com
모투가 끝나고 느낀 점에 대해 말해보도록 하겠다.
1. 모투와 실투는 100% 다르다.
해본 사람이면 느끼겠지만 둘 사이에 괴리감은 굉장히 크다. 사실 아예 연관성이 없다고 보는 게 맞다고 본다.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진데, 하나는 실제 돈이 아니라는 점, 또 하나는 모투는 순위에 드는 게 아니면 의미가 없다는 점이다.
2. 순위 싸움이고 게임이라 생각하는 게 편하다.
간혹 모투를 하면서 실투를 하기 위한 연습이라 생각하는데 이 생각은 틀렸다고 본다. 마치 전쟁터에 나갈 군인이 서든어택을 하면서 전쟁 준비하는 느낌?
모투는 순위에 드는 게 목적이며 상금을 타기 위한 것이다. 순위에 들지 못하면 백 등이던 꼴찌이던 똑같은 거다.
3.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로우리스크 노리턴.
그렇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삼성, 카카오 사는 사람들은 무의미한 짓을 하는 거다. 그렇게 할 거면 차라리 십만 원 정도 넣고 실투하는 게 나을 거다. 어차피 그런 주식은 떨어져 봤자 십만 원에서 오만 원 되는 날도 안 올 거다.
4. 기간과 룰을 생각할 것.
이번 대회에선 처음 1달은 투자를 초기화할 기회가 있었다. (첫 대회라 이런 거 잘 모르고 저도 안 씀...) 그러면 첫 1달은 더더욱 위험한 종목을 사야 한다.
대회 기간이 두 달이라는 점. 두 달이면 아무리 성장 가능성이 있고 저평가되어있다고 하더라도 가치투자로 높은 수익을 낼 수 없다.
5. 고수는 없다.
중간 리뷰 때 사람들 수익이 미쳤다고 말한 적이 있었다. 그 추세라면 대회가 끝날 때 수익이 곱은 될 거라 생각했지만 수익은 그대로였다. 순위권 사람들이 안정적으로 유지했던 걸까? 아니다. 순위는 미친 듯이 매일 변했다. 중간에 순위권이었던 사람들은 초반에 운이 좋았던 사람들이고 운이 다해 마이너스 수익을 낸 것이고 그 자리를 또 다른 나 같은 운 좋은 사람들이 채웠을 뿐이다.
반응형'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마존 리눅스와 Nginx를 이용해 리액트 웹 서버 구축하기(1) (0) 2021.01.05 랜덤 워크 문제 풀이 (0) 2020.12.16 AWS credential 파일 만들기 (0) 2020.10.12 모의투자 경험기, 리뷰 (한국투자 대학생 모의투자대회) (0) 2020.09.24 크롬 검색기록 끄기, 자동완성 끄기 (구버전 설치) (0) 2020.09.22